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월 소득에 맞는 차 수준 알아보기(자기 연봉에 맞는 차 수준)

by 방프리. 2023. 1. 30.
반응형

월 소득에 맞는 차 수준 알아보기(자기 연봉에 맞는 차 수준)

우리는 보통 어떤 가격이 비싼 아파트나 어떤 큰 금액을 보았을 때 이런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연봉을 하나도 쓰지 않고 몇 년을 모아야 살 수 있는 돈이다'라는 식의 이야기를 주로 하곤 합니다. 2021년도 서울의 아파트 평균값이 12억에 육박했던 적이 있습니다. 내가 3천만 원의 연봉을 받고 있다면 40년 동안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서울에 집을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식의 표현은 그만큼 가격이 비싼 물건을 표현할 때 쓰곤 합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그렇다면 나의 소득 수준 대비 얼마 만큼의 차를 구매하는 데 사용할까요?

플렉스 혹은 욜로족 같은 당장의 행복을 추구하던 시대가 지나고 파이어족이 대세가 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상승하고 물가가 상승하면서 나의 실질적인 월급은 줄어든 것이나 마찬가지인데요. 요즘 같은 시기에 예전과 같은 영끌이나 높아진 금리로 욜로나 플렉스를 하기에 부담스러운 시기가 된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소득에 따른 그리고 내 연봉에 맞는 차량은 무엇일까요?

KBS JOY 예능 국민영수증에서 머니트레이너로 사연자의 소비패턴을 파악하고 재테크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솔루션을 제공하던 머니트레이너 김경필 님이 월소득 따른 차종을 정의한 것이 있습니다.

전제가 있는데 내 집 마련을 했는지 아니면 하지 못했는지에 따라 최대 소비할 수 있는 금액이 달라지고 차종이 달라집니다.

  1. 내 집 마련 전이라면 월 소득의 4개월 치의 차를 구입해야 한다.
  2. 내 집 마련 후라면 월 소득의 7개월 치의 차를 구입해야 한다.

월 소득에 따른 차종(연봉아님) - 내 집 마련 후 월 소득의 7개월 치 이내의 차량을 구매해야 한다.

월 소득 차종
2천만 원 이상 벤츠 G바겐
1500만 ~ 2000만 원 미만 포르쉐 박스터
1000만 ~ 1500만 원 미만 BMW X4, 벤츠E클래스
700만 ~ 1000만 원 미만 제네시스 G80
500만 원 K5
400만 원 아반떼
300만 원 레이
300만 원 이하 대중교통 이용

위에 언급한 것 처럼 내 집 마련을 끝낸 후에 구입할 수 있는 차량이며 월 소득의 최대 7개월 치 이내의 차량을 구매해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김경필 머니트레이너는 저축을 통한 재테크 방법을 알려주는 분이라 경각심을 주기 위해 이렇게 이야기한 것 같습니다. 위 표에 따르면 대부분 월소득 대비 구입하는 차량의 수준이 상당히 높은 것을 주변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차를 구매하면서 발생하는 파생소비

차를 구매하면서 파생소비가 발생하는데 김경필 트레이너는 그것을 3료 6 비 12금이라고 정의합니다.

3료 : 보험료, 통행료, 과태료

6비 : 주유비, 주차비, 수리비, 세차비, 대리비, 발레파킹비

12금 : 취득세, 등록세,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행세, 지방교육세 등의 세금

 

거기다 월 유지비 차값의 1~1.5%, 10년 후 차의 감가상각은 80%로 잔존가치는 20%, 거기에 10년 유지비를 계산하면 6천만 원짜리 차량을 구매했을 때 10년간 소비하는 돈이 1억 2천만 원이라고 이야기합니다.

6천만 원 차량의 10년 후 감가상각 80% 금액 4800만 원

6천만 원 차량의 월유지비 1%(60만 원) X 12개월 X 10년 = 7200만 원

합계가 1억 2천만 원. 

갑자기 차량은 이동수단일 뿐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차를 구매하는 것은 과한 소비라는 생각이 들게 되네요.

 

이렇게 이야기하면서 300만 원 미만의 연봉을 받는 사람에게는 이렇게 이야기하죠. BMW를 실천해라.

B : BUS

M : METRO

W : WALK

멋진 단어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