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득금액증명원 쉽게 발급받는 방법
일반 연말정산을 하는 직장에 소속되어 있는 분들의 경우 소득금액증명원을 발급할 일이 많은 일은 아닙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한 경우에만 소득금액증명원을 발급할 수 있고, 전년도 소득금액증명원을 발급하기 위해서는 5월에 있는 종합소득세 신고를 마쳐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2월에는 아직 22년도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21년도 자료와 이전자료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금액증명원이 필요한 경우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는다던가 디딤돌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등 다양한 지원을 받거나 혜택을 받을 경우 소득을 증빙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 회사원의 경우 연말정산을 통해 제출한 자료로 소득을 증빙할 수 있지만 종합소득을 신고하는 사람의 경우 소득금액증명원으로 소득을 증빙할 수 있습니다.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받는 세 가지 방법
- 첫 번째는 방문해서 발급받는 방법입니다. 보통 복지센터(주민센터, 동사무소)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무인발급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 무인발급기에서 직접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무인민원발급기의 소득금액증명 발급 수수료는 무료입니다.
무인민원발급 설치 장소는 복지센터 뿐만 아니라 지역 내 많은 곳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 두 번째는 PC 인터넷에 접속 후 발급받는 방법입니다. 이때는 프린터가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하고 발급 비용은 무료입니다.
PC로 발급받는 경우 정부24사이트에서 '소득금액증명' 검색 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간단한 회원가입 + 휴대폰인증 또는 공동인증서 로그인으로 바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아래는 정부 24 접속 후 발급받는 화면입니다. - 세 번째는 모바일로 발급받는 방법입니다. 손택스 어플 - 민원 증명 - 즉시발급 신청 - 소득금액 증명 순으로 접속하여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어느 방법이 가장 편할까?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프린터가 준비되어 있다면 PC 혹은 모바일로 발급받는 것이 가장 편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프린터가 없거나 주변에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동사무소) 등 무인민원발급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이 가까이 있다면 직접 방문해서 발급받는 것도 좋습니다. 정부 24 관련된 서류는 가끔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저는 모바일 혹은 PC로 발급받는 편입니다. 가끔 은행 등에 방문하면 필요한 서류가 많더라고요. 그때마다 직접 방문하는 것이 번거로워서 저는 집에서 프린터로 뽑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